카이코, AI·토큰화 테마 지수 출시…토큰화 자산이 수익률 앞서

BTCC

디지털 자산 생태계가 성숙함에 따라, 투자자들은 특정 혁신 테마에 더욱 정밀하게 노출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 이에 따라 글로벌 시장 데이터 분석업체 카이코(Kaiko)는 두 가지 핵심 내러티브인 인공지능(AI)과 자산 토큰화에 초점을 맞춘 테마형 지수(Thematic Indices)를 발표했다.

카이코의 테마형 지수는 광범위한 지수와 달리, 시장 초기의 잡음을 줄이고 각 내러티브에 맞는 핵심 자산만 선별적으로 담는다. 모든 자산은 유동성과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평가되며, 동일 가중 방식으로 구성된다. 단일 자산에 대한 비중은 최대 30%로 제한된다.

4월 리밸런싱 기준, 카이코 AI 지수에는 니어(NEAR), 인터넷컴퓨터(ICP), 페치(FET), 렌더(RENDER), 그래프(GRT), 아이오지(AIOZ), 아카시(AKT) 등이 포함됐다. 이들 자산은 분산형 인공지능, 분산 컴퓨팅, AI 기반 애플리케이션 등 블록체인과 AI의 융합을 지향한다.

반면, 자산 토큰화는 상대적으로 저평가됐지만 암호화폐 산업에서 실질적인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정부채권부터 부동산까지 실물 자산의 수조 원 규모가 이미 토큰화되고 있으며, 이 지수에 포함된 자산은 토큰화 인프라를 구축하거나 주요 실사용 사례를 보유한 프로젝트들이다.

카이코, AI·토큰화 테마 지수 출시…토큰화 자산이 수익률 앞서

흥미로운 점은 지난 6개월간 지수 간 성과 차이다. 토큰화 지수는 약 28% 상승한 반면, AI 지수는 31% 하락했다. 올 들어서만 AI는 45% 급락한 반면, 토큰화 자산도 30% 하락에 그쳤다. 이는 트럼프의 차기 임기 개시, 시장 불안정성 확대, 위험 선호 변화 등 거시 환경의 영향을 받은 결과로 풀이된다.

AI 관련 토큰 하락 배경에는 엔비디아 하락세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엔비디아 주가는 지정학적 긴장감과 무역 불확실성으로 20% 넘게 하락했으며, 1월 출시된 딥시크(Deepseek)도 AI 토큰 전반에 매도 압력을 초래했다. 1월 27일 이후 AI 지수는 하루 10% 이상 하락한 날이 과거 8개월보다 많았으며, 반대로 10% 이상 급등한 날은 한 차례도 없었다.

이에 비해 토큰화 지수는 변동성이 낮고 투자 심리도 안정적인 편이다. 6개월 기준 샤프지수는 약 0.9로, AI 지수의 -0.37 대비 우월한 위험조정 수익률을 보였다. 이는 실용성 기반의 내러티브가 비교적 투기적 사이클에 덜 민감하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궁극적으로 AI는 파괴적 혁신이라는 장기적 가능성을 품고 있지만, 현재로선 토큰화가 더 나은 투자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AI가 기대감에 휘둘리는 테마라면, 토큰화는 기존 금융구조를 실질적으로 개선하는 실용적 접근이라는 점에서 차별점이 있다.

Related Posts

페페토, 프리세일 마감 후 거래소 상장 앞둬…밈코인 인프라 도전

페페토가 프리세일을 마무리하고 암호화폐 거래소에 곧 상장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개구리의 신'으로 불리는 페페토는 단순한 밈코인을 넘어 실용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대부분의 밈코인이 단기 투기와 커뮤니티 분위기에만 의존하는 것과 달리, 페페토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밈코인 카테고리의 신규 토큰들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간 토큰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페페토는 무수수료 거래소,…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