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CBC뉴스]중국 당국이 미국과의 관세 전쟁으로 인한 자국 수출기업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국내 판매 채널을 확대할 방침이다. 중국 관영매체는 중국 상무부가 대외무역기업의 국내 시장 판매 채널 확장을 지원하는 일련의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18일 보도했다.
중국중앙TV(CCTV)의 소셜미디어 계정에 따르면, 왕원타오 상무부장이 상하이를 방문해 대외무역 상품의 국내 판매 확대 상황을 점검했으며, 이는 특히 섬유 무역을 하는 업체 '둥팡궈지'를 중심으로 진행됐다. '둥팡궈지'는 과거 인기 드라마 '판화'의 배경이 된 업체로, 중국 방직업과 대외무역의 역사를 대변하는 곳이다.
작년 기준 중국의 섬유·의류 수출 중 17%가 미국으로 향했고, 이는 미국의 전체 수입 상품 중 24%에 해당할 만큼 중요한 분야였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인상 조치로 중국 섬유·의류 분야는 타격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이에 상무부는 경제 규모가 큰 10개 성을 비롯한 각 지역에서 무역업체가 참여하는 우수 제품 판매 행사를 개최해 국내 판로를 열고, 상하이 등은 5억 위안의 시 재정자금을 투입해 소비 바우처를 발행할 계획이다. 상무부는 무역업체의 자금 회수 어려움을 해소하고, 브랜드 및 생산·판매 표준을 통합해 무역 압박에 대응할 방침이다.
매체는 "중국의 내수 시장은 대미 수출 시장보다 훨씬 크다"며, 국내 시장 확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2024년 중국의 소비재 소매 판매액은 대미 수출액의 10배가 넘는 48조8천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은 글로벌적인 관심사이다. 이 사안이 어떻게 풀려나가느냐에 따라 주식이나 코인시장의 향방도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현재 파이코인은 코인마켓캡 기준으로 1.18달러이다. 전일보다 15% 이상 떨어진 가격이다.
[본 기사는 투자 권유 기사가 절대 아닙니다. 해당 내용은 견해에 불과할 수 있으니 투자에 참고로 하거나 자료로 반영하시지 않기 바랍니다. 모든 투자는 각자의 판단으로 선택해서 하는 것으로 최종적 책임은 투자자에게 있다는 점을 알려드립니다. 본지는 절대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