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게티이미지뱅크
해킹된 가상자산의 80%가 가격을 회복하지 못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2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는 블록체인 보안업체 이뮨파이의 분석을 인용, 해킹된 가상자산의 77.8% 이상이 해킹 후 6개월 동안 가격 부진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해킹된 토큰의 51.1%는 해킹 6개월 이내에 50% 이상의 가격 하락을 경험했다. 미첼 아마도르 이뮨파이 최고경영자(CEO)는 “과거에는 탈중앙화금융(DeFi)이 가상자산 해킹의 대부분을 차지했다면, 이제는 중앙화금융(CeFi)이 가장 큰 취약점으로 남아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올해 해킹된 11억 9000만 달러(1조 5947억 원) 상당의 가상자산 중 6억 3600달러(8040억 6482만 원)가 CeFi로 인한 것으로 밝혀졌다.
관련기사 와지르엑스, 해킹 피해 자산 복구했지만…출금 불확실성에 이용자 불안 가중2분기 가상자산 도난액 전년 대비 2배…CEX 도난액 10배 증가 탓코인스태츠, 보안 사고 발생…”1590개 가상자산 지갑 피해”北해커, 악성코드 ‘두리안’ 개발…국내 가상자산 기업 공격
아마도르는 CeFi 인프라 해킹이 가상자산 산업에서 가장 치명적이라고 강조했다. 개인 키가 해킹될 경우 해당 키가 관리하는 모든 자금이 도난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올해 초부터 2월 29일까지 가상자산 해킹으로 2억 달러(2680억 2000만 원) 이상이 손실됐으며, 이는 지난해 동일 기간 1억 7300만 달러(2318억 3730만 원)에 비해 15% 이상 증가한 수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