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가 진정한 금융 혁신을 이루려면 정치적 이해관계를 넘어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야 한다. [사진: 셔터스톡]
[인포진 홍진주 기자]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암호화폐 산업을 적극 지원하면서 시장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권력층을 위한 정책이 자리 잡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0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는 기존 금융 시스템에 불만을 가진 일반인을 위해 설계되었다. 암호화폐 대장주 비트코인(BTC)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금융 주권을 위한 실험으로 탄생했으며, 헤지펀드나 정치 엘리트를 위한 도구가 아니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가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규제를 빠르게 완화하며 권력층이 더 강해지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고 매체는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 일가가 주도하는 암호화폐 플랫폼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은 정부의 규제 완화 속에서 스테이블코인과 디지털 토큰을 출시했다. 이와 동시에 법무부는 암호화폐 관련 자금 세탁 및 사기 수사를 중단했다.
이러한 트럼프 대통령의 암호화폐 산업 지지가 사업 전략이며, 행정부의 규제 완화는 WLF와 유사 기업들이 감시를 피하면서 금융적 영향력을 확대하도록 돕고 있다는 게 매체의 주장이다.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 [사진: WLP 홈페이지]
더 큰 문제는 암호화폐의 정치화다. 트럼프와 같은 정치인과 연계된 코인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이는 충성과 영향력을 위한 수단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이에 따라 정치인들이 암호화폐를 활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중앙집권적 영향력을 구축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코인텔레그래프는 암호화폐가 블록체인을 해방시키는 도구로 포장되었으나 실제로는 투기적 이익이 주를 이루고 있다며, 이는 암호화폐가 약속한 금융 혁명이 아니라고 꼬집었다. 이어 기존 권력 구조가 강화되고 있는 반면, 평범한 사용자들은 여전히 소외되고 있어 암호화폐의 진정한 목적이 정치적 브랜드가 아니라 실질적인 금융 접근성을 제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즉, 암호화폐를 투자의 개념으로만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 암호화폐가 어떤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보여줘야 한다는 것이다. 송금 수수료 없이 가족에게 돈을 보내거나, 불안정한 현지 통화를 안정적인 디지털 화폐로 대체하는 것 등이 예시가 될 수 있다.
△인포진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