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면세 혜택을 제공하는 국가는 어디일까 [사진: 셔터스톡]
[인포진 홍진주 기자]암호화폐를 이미 보유하고 있거나 향후 투자할 생각이 있다면 해당 관할권의 환경을 면밀히 고려해야 한다. 세금이 면제되는지, 암호화폐 관련 서비스가 있는지 등 암호화폐 친화적인 국가일수록 투자는 더욱 유리하다.
몇몇 국가를 제외하고 암호화폐는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합법적이나, 규칙, 세금 및 관련 서비스는 특정 지역에 따라 다르다. 관련해 7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는 2025년 기준 암호화폐 면세 혜택을 제공하는 5개 국가를 소개했다.
먼저 카리브해에 있는 영국 속령의 섬 케이맨 제도(Cayman Islands)다.매체는 진정한 디지털 자산 세금 안전지대를 찾고 있다면 케이맨 제도가 최우선 고려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전했다. 케이맨 제도는 개인소득세, 자본이득세, 법인세를 부과하지 않으며, 이는 암호화폐도 포함된다. 비트코인을 거래하거나 장기 보유하거나 디파이(DeFi) 자산을 관리하는 경우에도 수익은 과세되지 않는다.
규제에 대한 우려가 있는 투자자들에게도 케이맨 제도는 매력적이다. 이곳에서는 지난 4월부터 완전한 운영 라이선스 체제를 갖춘 암호화폐(서비스 제공자)법이 개정되어 거래소, 수탁자 및 기타 플랫폼이 글로벌 기준에 맞춰 합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안정적인 지역 경제, 영국식 법적 보호, 외국인 친화적 생활환경 등은 케이맨 제도를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암호화폐 세금 면제 지역 중 하나로 만드는 요소다.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사진: 셔터스톡]
아랍에미리트(UAE) 역시 가장 암호화폐 친화적인 국가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두바이와 아부다비를 포함한 7개 UAE 전역에서 개인은 암호화폐 거래, 스테이킹, 채굴, 판매에 대해 세금을 부과받지 않는다. 이는 개인 소득세가 없고, 디지털 자산에 대한 자본이득세가 없는 완전한 암호화폐 세금 피난처를 의미한다. 또한, 세금 정책을 넘어 규제 명확성도 강점이다. 두바이 가상자산규제청(VARA), 두바이금융서비스청(DFSA)과 같은 전담 암호화폐 규제기관이 있어 스타트업, 벤처캐피털, 주요 기업들이 명확한 규제 환경에서 운영할 수 있다.
이외에도 엘살바도르는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인정하고, 거래 및 보유에 대한 세금을 전면 면제하는 국가로 알려져 있다. 엘살바도르 정부는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인 '비트코인 시티'를 건설 중이며, 이는 지열 에너지를 활용한 암호화폐 도시로 소득세, 재산세, 자본이득세가 없는 새로운 세금 면제 구역이 될 예정이다.
독일은 세금 피난처로 잘 알려져 있는 국가는 아니지만, 장기 암호화폐 보유자들에게는 2025년 가장 암호화폐 친화적인 국가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독일에서는 비트코인이나 기타 디지털 자산을 12개월 이상 보유하면 판매, 교환, 일상적 사용까지도 완전히 세금이 면제된다. 독일은 장기 보유한 암호화폐를 투기 자산이 아닌 사적 자산으로 취급하며, 단기 거래에도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독일 같은 고세율 국가에서 이러한 구조는 놀라울 정도로 관대하며, 암호화폐 세금 면제 국가 중에서도 드문 사례로 꼽힌다.
포르투갈 알가르브의 주택 시장이 호황을 누리고 있다. [사진: 셔터스톡]
포르투갈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포르투갈은 365일 이상 보유한 자산에 대한 암호화폐 자본이득세가 전면 면제되며, 유럽 내에서 가장 매력적인 암호화폐 세금 면제 국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NHR 프로그램을 통해 2025년 3월 31일 이전에 자격을 갖춘 사람들은 대부분의 외국 소득 암호화폐 수익이 비과세되며, 국내 소득은 20%만 과세된다.
다만 포르투갈이 완전한 세금 면제 국가인 것은 아니다. 1년 미만 보유한 자산의 단기 이익은 28% 과세되며, 스테이킹이나 사업 활동에서 발생하는 수익도 세금이 부과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기 투자자와 은퇴자들에게 포르투갈은 여전히 가장 매력적인 디지털 자산 세금 안전지대 중 하나로 남아 있다. 암호화폐 세금 절감을 원하는 원격 근무자와 암호화폐 이주자들이 포르투갈로 몰리는 이유다.
△인포진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