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비트코인 국가보유 논쟁 심화, 투자자 엇갈린 반응

BTCC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에서 비트코인의 위상이 높아지는 가운데, 미국의 비트코인 국가 보유 전략에 대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샤크탱크의 유명 투자자 케빈 오리어리는 이에 대해 강경한 반대 입장을 밝혔다.

오리어리는 마이클 세일러가 추진하는 전략적 비트코인 보유 법안에 대해 “절대 일어나지 않을 일”이라며 일축했다. 그는 세일러의 주장이 자사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고 지적하면서도, 스테이블코인 규제의 중요성은 강조했다. 향후 관련 법안이 통과되면 글로벌 거래 비용이 절감되고 디지털 달러의 보급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신시아 루미스 상원의원이 발의한 전략적 비트코인 보유 법안은 정치권에서 엇갈린 반응을 얻고 있다. 노스캐롤라이나 주가 지지 의사를 보인 반면 오클라호마 주는 이를 거부했다. 시카고대학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비트코인의 국가 보유 자산 적합성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

스카이브릿지캐피털의 앤서니 스카라무치는 이 법안이 미국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지지 입장을 표명했다. 테크 기업가 데이비드 삭스도 초당적 접근을 촉구하며, 공화당 단독 추진은 정권 교체 시 뒤집힐 수 있다고 경고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최근 1억 8,030만 달러(약 2,560억 원) 규모의 비트코인을 추가 매입해 총 55만 5,450 BTC를 보유하게 됐으며, 계속해서 매입을 이어갈 계획이다.

한편 유럽중앙은행(ECB)의 크리스틴 라가르드 총재는 당분간 비트코인을 보유 자산으로 고려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반면 엘살바도르는 국제통화기금(IMF)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을 국가 자산으로 편입했다. 이처럼 디지털 자산 정책을 둘러싼 각국의 입장차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Related Posts

페페토, 프리세일 마감 후 거래소 상장 앞둬…밈코인 인프라 도전

페페토가 프리세일을 마무리하고 암호화폐 거래소에 곧 상장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개구리의 신'으로 불리는 페페토는 단순한 밈코인을 넘어 실용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대부분의 밈코인이 단기 투기와 커뮤니티 분위기에만 의존하는 것과 달리, 페페토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밈코인 카테고리의 신규 토큰들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간 토큰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페페토는 무수수료 거래소,…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