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건스탠리도 뛰어든다… 암호화폐 전쟁에 로빈후드 주가 출렁

BTCC

로빈후드(HOOD)의 주가가 1일(현지시간) 장중 하락세를 보였다. 모건스탠리(MS)가 자회사인 이트레이드(E*Trade)를 통해 *암호화폐 거래*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는 보도가 전해지면서, 온라인 브로커 간 경쟁 격화 우려가 시장에 반영된 것이다.

이날 블룸버그가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모건스탠리는 기존 증권 플랫폼에 디지털 자산 거래 기능을 더할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이는 곧 *로빈후드의 주요 성장 동력*과 고객 기반에 직접적인 도전이 될 수 있다. 특히 기관급 금융사가 빠르게 암호화폐 시장으로 진입할 경우, 신생 기업들의 점유율 방어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날 발표한 1분기 실적도 주가 하락을 피하지는 못했다. 로빈후드는 또 다른 부담 요인으로 연내 지출 증가 가능성을 언급했다. 기존에 예상했던 20억~21억 달러보다 높아진 20억 8,500만~21억 8,500만 달러(약 3조 원)로 상향 조정했는데, 이는 최근 마무리된 *TradePMR 인수*와 관련된 비용 증가를 반영한 것이다.

재무책임자 제이슨 워닉(Jason Warnick)은 이날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0.25%p 인하할 경우, 그 영향만으로도 연간순이자수익에서 약 5,000만 달러(약 720억 원)의 역풍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빈후드는 1분기 실적 측면에서는 시장 기대치를 상회했다. 주당순이익(EPS)은 0.37달러, 매출은 9억 2,700만 달러(약 1조 3,347억 원)로, 이는 전년 대비 50% 증가한 수치다. 시장 컨센서스였던 EPS 0.32달러, 매출 9억 1,500만 달러를 웃돌았다.

로빈후드 주가는 이날 1.2% 하락했지만, 올해 들어서는 약 30% 상승한 상태다. 투자자들의 관심은 이제 모건스탠리의 암호화폐 전략 확대가 어떤 후폭풍을 몰고 올지에 쏠리고 있다. 기존 온라인 중개업체들과의 격돌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핀테크 기업들의 *비즈니스 수익 모델*에도 변화가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Related Posts

페페토, 프리세일 마감 후 거래소 상장 앞둬…밈코인 인프라 도전

페페토가 프리세일을 마무리하고 암호화폐 거래소에 곧 상장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개구리의 신'으로 불리는 페페토는 단순한 밈코인을 넘어 실용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대부분의 밈코인이 단기 투기와 커뮤니티 분위기에만 의존하는 것과 달리, 페페토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밈코인 카테고리의 신규 토큰들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간 토큰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페페토는 무수수료 거래소,…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