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부채 위기가 암호화폐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하다. [사진: 셔터스톡]
[인포진 홍진주 기자]일본 장기 국채 금리 급등으로 인한 재정 불안이 글로벌 금융시장에 충격을 주며 암호화폐 시장까지 위협하고 있다.
12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시장은 지난 2024년 8월 일본 재정 위기로 인한 글로벌 거시경제 혼란에 대응하며 급락세를 보이며 유동성 충격과 시스템적 위험에 대한 민감성을 드러낸 바 있다.
당시 비트코인(BTC)은 8월 초 8만2000달러 최고점에서 17% 급락했고, 이더리움(ETH)은 3000달러 이하로 떨어졌다. 솔라나(SOL), 아발란체(AVAX), 폴카닷(DOT) 같은 알트코인의 시가총액도 25% 이상 증발했다. 이에 따라 일부 투자자들이 대거 몰리면서 스테이블코인의 거래량이 급증했지만, 유동성 불안으로 USDC마저 일시적으로 페그를 잃는 등 시장 혼란이 가중됐다.
이러한 하락은 단순한 암호화폐 시장 조정이 아니라 거시경제적 사건으로 평가된다. 일본 금융기관들이 재정 위기로 미국 국채와 주식을 포함한 해외 자산을 현금화하기 시작하면서 채권 수익률은 급등하고 주가 지수는 급락했으며, 이 충격이 암호화폐 시장까지 이어진 것이다. 당시 S&P 500 지수는 3주 만에 11% 하락했다.
일본의 재정 위기는 1990년대 '잃어버린 10년' 이후 경기 부양을 위한 대규모 재정 지출과 인구 감소로 인한 구조적 침체가 수십 년간 누적된 결과다. 2024년 일본의 부채 대비 국내총생산(GDP) 비율은 260%를 넘어섰고, 이는 서방 국가들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일본은행(BOJ)은 마이너스 금리와 장기 국채 수익률 통제 정책을 유지했지만, 글로벌 인플레이션 상승과 엔화 약세로 인해 더 이상 금리를 억제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했다. 결국 2024년 8월 BOJ는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 상한을 완화했고, 이는 글로벌 금융시장을 강타하는 결과를 낳았다.
일본은 세계 최대 채권국 중 하나로, 총 수조달러에 달하는 해외 부채, 주식, 부동산 등을 소유하고 있다. 만약 일본 금융기관들이 해외 자산을 매도할 경우 글로벌 유동성은 급격히 위축되며, 이는 암호화폐 시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다. 특히 비트코인은 공급이 고정된 탈중앙화 자산임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으로는 유동성 충격에 취약한 모습을 보여 더욱 주의해야 한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국가 통화 가치 하락과 취약성에 대한 헤지 수단으로도 활용될 가능성도 있다고 코인텔레그래프는 전했다.
△인포진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